Skip to main content Link Search Menu Expand Document (external link)

Jekyll start

Table of contents

  1. Jekyll start
    1. Gem
    2. Gemfile
    3. Bundler
  2. 설치
    1. 준비물
    2. 가이드
  3. 커뮤니티
    1.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
  4. 설치 상세
    1. 사이트 생성
    2. 빌드

Jekyll 은 루비로 작성되었습니다. 루비를 처음 접한다면, 용어들에 빨리 익숙해지는데에 이 페이지가 도움이 될 것입니다.

Gem

젬은 루비 프로젝트에 포함할 수 있는 코드입니다. 기능들을 패키지화해서 다른 사람들이나 프로젝트에 공유할 수 있게 해줍니다. 젬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Gemfile

Gemfile 은 site에 필요한 젬들의 목록입니다. 단순한 Jekyll site를 예로 들면 이렇게 생겼습니다:

source "https://rubygems.org"

gem "jekyll"

group :jekyll_plugins do
  gem "jekyll-feed"
  gem "jekyll-seo-tag"
end

Bundler

Bundler 는 Gemfile 에 있는 젬들을 설치합니다. Gemfilebundler 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는 아니지만 여러 다른 환경에서 올바른 버전의 Jekyll 과 Jekyll 플러그인을 사용하게 도와주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습니다.

gem install bundler 명령으로 Bundler 를 설치합니다. 이 설치는 한 번만 하면 됩니다 — Jekyll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마다가 아닙니다. 여기 세부사항이 몇 가지 더 있습니다:

만약 Gemfile 을 사용하고 있다면 먼저 bundle install 을 실행해 젬들을 설치하고, bundle exec jekyll serve 로 site를 빌드합니다. 이는 Gemfile 에 설정된 버전의 젬들을 사용하도록 보장해줍니다. Gemfile 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그냥 jekyll serve 라고 실행하면 됩니다.

당신의 Jekyll 프로젝트에 Bundler 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을 원하는 경우, 이 튜토리얼에 가장 흔히 묻는 질문들에 대한 답변과 빠르게 준비를 끝내고 실행하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설치

Jekyll 은 루비 젬이며, 거의 모든 시스템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준비물

  • 루비 버전 ** 또는 그 이상. 모든 개발환경 헤더 포함 (루비 버전은 ruby -v 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루비젬 (명령어 gem -v 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GCCMake (시스템에 설치 되어있지 않는 경우. 명령행 인터페이스에서 gcc -v, g++ -v 그리고 make -v 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이드

세부적인 절차는 자신의 운영체제에 해당하는 가이드를 확인해보세요.

커뮤니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

Jekyll 에 관련된 도움을 찾고 있다면, 선택지가 몇 가지 있습니다:

Jekyll 단계별 튜토리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 튜토리얼의 목표는 약간의 프론트엔드 웹 개발 경험을 쌓는 것부터 아무것도 없이 — 기본 젬 기반 테마에 의존하지 않고 — 시작해 당신의 첫 Jekyll 사이트를 생성하는 것입니다. 시작해봅시다!

설치 상세

Jekyll 은 루비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우선 루비를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설명서를 열어 자신의 운영체제에 맞는 지시를 따릅니다.

루비가 준비되었으면 터미널에 다음과 같이 실행하여 Jekyll 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gem install jekyll bundler

프로젝트의 의존요소 목록인 Gemfile 을 생성하려면 이렇게 실행합니다:

bundle init

이제 Gemfile 을 열어 jekyll 을 의존요소로 추가합니다:

gem "jekyll"

마지막으로 bundle 을 실행해 프로젝트에 Jekyll 을 설치합니다.

이제부터 이 튜토리얼에 언급된 모든 Jekyll 명령어 앞에 bundle exec 를 붙여 실행하면 항상 Gemfile 에 정의된 버전의 Jekyll 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 생성

이제 사이트를 생성할 차례입니다! 사이트를 위한 새 디렉토리를 원하는 이름으로 생성합니다. 이 튜토리얼에서는 이 디렉토리를 “루트” 라고 부를 것입니다.

모험을 즐기는 편이라면, 여기에 Git 저장소를 구성할 수도 있습니다. Jekyll 의 장점 중 하나는 데이터베이스가 없다는 것입니다. 컨텐츠와 사이트 구조는 모두 파일로 되어있어 Git 저장소로 버전관리가 가능합니다. 저장소를 사용하는 것은 전적으로 선택사항이지만 익숙해지면 좋은 습관임에는 틀림이 없습니다. Git 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더 배우고 싶다면 Git Handbook 을 읽어보세요.

첫 번째 파일을 추가해봅시다. 루트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가진 index.html 을 생성합니다: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title>Home</title>
  </head>
  <body>
    <h1>Hello World!</h1>
  </body>
</html>

빌드

Jekyll 은 정적 사이트 생성기로서 사이트를 보려면 먼저 Jekyll 로 사이트를 빌드해야 합니다. 사이트 빌드에 사용하는 명령어는 두 가지로 사이트의 루트에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 jekyll build - 사이트를 빌드하고 _site 라는 디렉토리에 정적 사이트를 생성합니다.
  • jekyll serve - 위와 동일한 작업을 하지만 추가로 내용이 변경되면 사이트를 다시 빌드하고 http://localhost:4000 주소에 로컬 웹 서버를 구동합니다.

사이트 개발 중에는 jekyll serve 를 사용해 사이트를 수정할 때마다 갱신이 되도록 합니다.

jekyll serve 를 실행하고 브라우저로 http://localhost:4000 에 접속합니다. “Hello World!” 가 보일 것입니다.

음.. 이런 생각이 들 수도 있어요.
이런걸 왜 하고 있지? Jekyll 이 한 일이라곤 HTML 파일을 다른 위치로 그냥 복사한 것 뿐이네.
자.. 참을성이 필요한 때입니다. 아직 배울게 많아요!